학교 폭력 신고 방법 알아보기
학교 폭력 반드시 신고하세요.
학교 폭력 신고 방법 알아보기
요즘 뉴스를 보면 학교폭력에 관한 사건들이 많이 일어나고 있는데요. 처벌을 받을 줄 알면서 왜 저러나 싶기도 합니다.
과거 학교 폭력으로 인한 가해자 연예인들이며 유명인들의 몰락을 보면서도 자신의 미래가 두렵지 않은 아이들이 많이 있죠.
자기의 미래는 아닐 거라는 확신이 있나요? 자신은 유명해지지 않을 거니 괜찮다? 과연?

학교 폭력이라고 보는 것들은 어떤게 있을까요?
학교폭력은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하는 상해, 감금, 폭행, 갈취, 명예훼손, 모욕, 공갈, 강요, 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폭력 정보 등에 의해 신체와 정신 또는 재산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학교폭력의 유형
1.신체적 폭력: 신체적 폭력은 학생 간의 신체적인 접촉을 통해 발생합니다. 예를 들면 폭행, 또는 학생을 밀치거나 때리는 등의 행위가 포함됩니다.
2. 언어적 폭력: 언어적 폭력은 말이나 글을 통해 학생에게 상처를 주는 행위입니다. 욕설, 모욕, 차별적인 언어 사용 등이 언어적 폭력에 해당됩니다.
3. 사이버 폭력: 사이버 폭력은 인터넷과 기타 디지털 매체를 통해 발생하는 폭력입니다. 인터넷에서의 욕설, 중상적인 내용의 게시물 작성, 사생활 침해 등이 사이버 폭력에 해당됩니다.
4. 성희롱: 성희롱은 성적인 의도로 학생을 괴롭히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입니다. 성적인 언어, 몸을 만지는 행동, 성적인 내용의 메시지 전송 등이 성희롱에 해당됩니다.
5. 사회적 차별: 사회적 차별은 학생의 인종, 성별, 출신지 등을 이유로 차별하거나 배제하는 행위입니다. 인종 차별, 성 차별, 외모 차별 등이 사회적 차별에 해당됩니다.
6. 간접적 폭력: 간접적 폭력은 직접적인 신체적 접촉이나 언어적 폭력이 없지만, 학생의 정신적 또는 사회적 안녕을 해치는 행위를 말합니다. 소문을 퍼뜨리기, 배신하거나 친구들과의 관계를 파괴하기 등이 간접적 폭력에 해당됩니다.
7. 경제적 폭력: 경제적 폭력은 학생들이 경제적으로 약한 입장에 있는 경우에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돈을 강탈하거나, 경제적인 이득을 위해 학생을 협박하는 행위 등이 해당됩니다.
8. 정신적 폭력: 정신적 폭력은 학생들에게 정서적, 심리적인 피해를 입히는 행위입니다. 비아냥 거나 조롱, 괴롭히는 행위, 사회적으로 고립시키는 등의 행위가 이에 해당됩니다.
9. 선동 및 군집 폭력: 학생들을 선동하거나, 군집을 형성하여 다른 학생을 목표로 괴롭히는 행위입니다. 그룹 내에서의 폭력적인 행동이나 집단 따돌림 등이 해당됩니다.
학교 폭력 신고 하는 방법
학교폭력 사건에 대한 증거 확보는 매우 중요합니다.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사건의 심각성과 진실성을 입증할 수 있으며, 향후 조사와 대응에 도움이 됩니다. 증거 확보를 위한 몇 가지를 알아볼까요?
1. 상황 기록: 사건이 발생한 시간, 장소, 관련 인물 등 상세한 정보를 기록합니다. 가능한 한 자세하게 사건의 경위를 정리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사건의 시간순서와 구체적인 사건 사실을 포함하여 기록합니다.
2. 사진 및 동영상 증거: 가능하다면 사건 현장이나 상처, 손상 등을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남기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증거는 사건의 심각성을 입증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디지털 증거라면 사진이나 동영상 파일을 안전하게 저장해 둡니다.
3. 목격자 진술: 사건을 목격한 사람들의 진술은 강력한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사건에 관여하지 않은 목격자들에게 진술을 요청하고, 가능한 한 다양한 증언을 얻도록 노력하세요. 목격자의 신원과 연락처를 확인하여 추후 조사나 증언 요청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4. 문서화: 사건과 관련된 모든 메모, 문자 메시지, 이메일, 채팅 기록 등과 같은 문서적 증거를 보존하세요. 이러한 증거는 사건에 대한 타당성과 관련 인물들의 의도나 태도를 입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5. 의료 기록: 사건으로 인해 신체적인 손상을 입은 경우, 병원에서 진단서를 받아두세요. 의료 기록은 사건의 심각성과 피해 정도를 입증하는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6. 추가적인 증거 수집: 필요한 경우 CCTV 영상, 기록된 음성, 소셜 미디어 게시물 등과 같은 추가적인 증거를 확보하세요. 이러한 증거는 사건의 정확한 경위나 행동의 패턴을 입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위의 증거를 가지고 육하원칙에 따라 진술서를 씁니다.
학교 폭력 신고 및 상담기관
※ 피해자가 가해자를 신고할 수 있는 방법
기관명 | 홈페이지 | 상담전화 |
117학교폭력 신고센터 | http://www.safe182.go.kr | ☎️117 |
청소년 전화 1388 | https://www.cyber1388.kr 지역별 청소년 지원센터 운영 | ☎️1388 |
자녀안심하고 학교 보내기 운동 국민재단 | http://www.1318love.net | ☎️02)3453-5226 |
Wee센터 | http://www.wee.go.kr | ☎️1588-7179 |
청소년폭력 예방재단 | http://www.jikim.net | ☎️02)585-9128 |
여성 긴급전화 | http://www.seoul1366.or.kr 지역별 여성 긴급전화 운영 | ☎️1366 |
해바라기 아동센터 | http://www.child1375.or.kr/ 지역별 해바라기 아동 센터 운영 | ☎️02)3274-1375 (서울센터) |
자진신고
자진신고를 하면 선처될 수 있습니다.
가해 학생이라 하더라도 본인을 위해서 학교폭력 발생사실을 신고해서 빠르게 사안을 해결하고 다시 일상생활로 돌아올 수 있도록 관련기관 등에서 상담을 받기를 권합니다.
자진신고 방법
자진신고는 경찰서 등을 방문하여 할 수 있고 인터넷 (http://www.safe182.go.kr), 문자(#117), 전화(국번 없이 117), 이메일, 우편 등으로 할 수 있습니다.
자진신고 시 부모님 또는 교사와 동행 할 수 있고 가족이나 교사 또는 친구의 대리 신고도 본인신고와 동일하게 인정되니 자진 신고를 하여 선처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신고행위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나요?
학교폭력 신고자를 위한 법적인 보호는 '학교폭력근절 및 피해복구 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 법률은 학교폭력 신고자의 신분과 신고 내용을 보호하기 위해 기밀유지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학교폭력 신고자는 신고 내용이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되며, 신고자의 신분이나 개인정보가 공개되지 않도록 학교와 관련 기관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는 신고자의 안전과 신뢰를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법적 보호장치입니다. 또한, 학교폭력 신고자가 불이익을 받는 경우에는 학교폭력근절 및 피해복구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제재를 가하고, 이에 따른 보호 및 지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학교는 학교폭력 신고자를 보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 신고자가 어떠한 불이익도 받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대한민국 법률은 학교폭력 신고자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학교폭력 신고에 대한 불이익을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한 제도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비밀 누설금지의무를 위반한 사람은 1년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학력인정이 되는 대안학교가 있을까요? 대안학교 찾아보기
학력인정이 되는 대안학교가 있을까요? 학력인정이 되는 대안학교가 있을까요? 대안학교를 생각하고 계신 부모님들이 계실 텐데요. 일반적으로 대안학교를 생각할 때는 개인적인 학습스타일에
wimimi.co.kr
실종 예방 지문 사전등록 신청방법 알아보기
실종 예방 지문 사전등록 신청하기 실종 예방 지문 사전등록 신청방법 알아보기 사건 사고도 많은 요즘 우리 가족이 실종, 납치 등에 노출이 된다면 너무 끔찍한 일일 텐데요. 그런 일은 없어야
wimimi.co.kr
전동 킥보드 탈 때 면허가 있어야 한다고? 킥보드 운전 면허증 발급
전동 킥보드 탈 때 면허증 소지하고 계신가요? 요즘 길에서 전동 킥보드(전기자전거포함) 타고 다니시는 분들 자주 보게 됩니다. 공유 전동킥보드로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차를 이용하기에는 가
wimimi.co.kr
스토킹으로 고통받고 있다면 스토킹 신고방법 알아보기
스토킹 신고방법 알아보기 요즘 뉴스를 보면 스토킹 범죄로 인하여 심한 고통을 받으시는 분들의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스토킹 범죄 신고 건수도 계속 늘어나는 추세인데 그 이유는
wimimi.co.kr